목차
제1편 조직연구의 기초
제1장 조직의 이해 3
Ⅰ. 조직의 탄생 동기 3
Ⅱ. 조직의 정의 및 유형 5
제2장 조직이론의 발전 8
Ⅰ. 조직이론 연구의 전제 8
Ⅱ. 고전이론(classical theories) 12
Ⅲ. 신고전이론(Neoclassical theories) 17
Ⅳ. 통합관점 - 버나드(Barnard) 21
Ⅴ. 시스템이론(System theory) 23
Ⅵ. 기타 근ㆍ현대적 조직이론 27
제3장 이 책의 개요 28
제2편 개인차원의 행위연구
제1장 개인차원의 연구 개관 31
제2장 지 각 32
Ⅰ. 지각에 대한 기초적 이해 32
Ⅱ. 지각의 과정 및 영향요인 33
Ⅲ. 대인지각에 관한 이론 37
Ⅳ. 지각과 판단의 오류 44
Ⅴ. 지각오류의 감소방안 47
제3장 개인차 49
제1절 조직의 다양성 49
Ⅰ. 조직의 다양성에 대한 기초적 이해 49
Ⅱ. 표면적 다양성 변수 : 신분특성의 차이 50
Ⅲ. 내면적 다양성 변수 : 능력의 차이 51
Ⅳ. 조직의 다양성 관리전략의 실천 58
제2절 성 격 60
Ⅰ. 성격에 대한 기초적 이해 60
Ⅱ. 성격의 결정 62
Ⅲ. 조직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성격 특성 66
Ⅳ. 성격과 조직관리 : 성격과 직무와의 적합성 관계 79
Ⅴ. 나가며 : 성격과 조직의 조화까지 고려 - 슈나이더(B. Schneider)의 유인 - 퇴출이론 81
제3절 가치관 83
Ⅰ. 가치관에 대한 기초적 이해 83
Ⅱ. 가치관의 분류와 행동경향 : 개인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가치관의 체계적 분류 84
Ⅲ. 사회문화와 개인행동 88
Ⅳ. 가치관과 조직관리 93
제4장 태도 및 신뢰 99
Ⅰ. 태도에 대한 기초적 이해 99
Ⅱ. 태도와 행위와의 관계 102
Ⅲ. 태도의 변화 105
Ⅳ. 조직에서의 태도(직무태도) 111
Ⅴ. 신 뢰(trust) 125
Ⅵ. 조직사회화(organizational socialization) 131
제5장 감정 및 직무스트레스 133
Ⅰ. 감정에 대한 기초적 이해 133
Ⅱ. 감정이 조직행동에 미치는 영향 136
Ⅲ. 감정노동 139
Ⅳ. 직무스트레스 143
Ⅴ. 긍정적 조직행동(positive organizational behavior : POB) 153
제6장 동기부여 155
Ⅰ. 동기부여에 대한 기초적 이해 155
Ⅱ. 내용이론(motivation content theory) 156
Ⅲ. 인지적 동기이론 : 과정이론(Process theory of work motivation) 176
Ⅳ. 기타 동기부여 이론 193
Ⅴ. 모티베이션의 실제 : 조직에 적용하기 202
Ⅵ. 문화차이와 주요 동기부여이론 204
제7장 학 습 206
Ⅰ. 학습에 대한 기초적 이해 206
Ⅱ. 학습이론 : 어떤 과정을 거쳐 학습이 일어나는가? 207
Ⅲ. 학습에 의한 행동수정 213
Ⅳ. 학습의 결과 : 성과관련 행동 219
제3편 집단차원의 행위연구
제1장 집단차원의 연구 개관 225
제2장 집단에 대한 기초이해 226
Ⅰ. 집단에 대한 기초적 이해 226
Ⅱ. 집단형성의 이유 227
Ⅲ. 집단의 기능 228
Ⅳ. 집단의 유형 229
Ⅴ. 집단의 발달단계 233
Ⅵ. 집단행동 분석체계 238
Ⅶ. 집단성과 향상을 위한 방안 : 집단활성화 251
제3장 갈등 및 협상 255
제1절 갈 등 255
Ⅰ. 갈등(conflict)에 대한 기초적 이해 255
Ⅱ. 갈등의 원인 257
Ⅲ. 갈등의 결과 259
Ⅳ. 갈등 관리 262
Ⅴ. 집단 간 갈등 267
제2절 협 상 277
Ⅰ. 협상(negotiation)에 대한 기초적 이해 277
Ⅱ. 협상의 전략 279
Ⅲ. 성공적 협상의 조건 283
제4장 권력 및 정치 284
제1절 권 력 284
Ⅰ. 권력에 대한 기초적 이해 284
Ⅱ. 권력의 원천 286
Ⅲ. 권력의 획득과 행사 288
Ⅳ. 권력 행사의 결과 290
Ⅴ. 기타 권력행사 관련 접근방식 294
Ⅵ. 임파워먼트(empowerment) 296
제2절 조직정치 302
Ⅰ. 조직정치(organizational politics)의 개념 302
Ⅱ. 조직정치의 요인 302
Ⅲ. 조직정치적인 행동들 304
Ⅳ. 조직정치의 결과 306
Ⅴ. 조직정치의 관리 307
제5장 커뮤니케이션 309
Ⅰ.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기초적 이해 309
Ⅱ. 커뮤니케이션 과정 및 네트워크 310
Ⅲ. 커뮤니케이션 유형 315
Ⅳ. 개인간 커뮤니케이션 방법 : 매체의 선택과 정보충실도 322
Ⅴ. 커뮤니케이션 장애요인 323
Ⅵ. 커뮤니케이션 개선방안 328
Ⅶ. 국가문화와 커뮤니케이션: 고배경, 저배경 문화 330
제6장 리더십 331
Ⅰ. 리더십(leadership)에 대한 기초적 이해 332
Ⅱ. 제1유형 : 리더십은 리더의 특성이다 334
Ⅲ. 제2유형 : 리더십은 추종자들의 머릿속에 존재하는 이미지다 338
Ⅳ. 제3유형 : 리더십은 리더의 행위요 리더와 추종자간의 관계다. 339
Ⅴ. 제4유형 : 리더십은 상황적합성이다 354
Ⅵ. 제5유형 : 리더십은 변화주도행위이다 371
Ⅶ. 제6유형 : 리더십 효과는 다른 요인들로 대체될 수 있다 381
Ⅷ. 최근 리더십 이론 385
제7장 의사결정 391
Ⅰ. 의사결정(decision making)에 대한 기초적 이해 391
Ⅱ. 의사결정의 유형과 과정 392
Ⅲ. 개인 의사결정모형: 의사결정 기본모형 395
Ⅳ. 집단의사결정 403
제4편 조직수준의 행위연구
제1장 조직차원의 연구 개관 419
제2장 조직의 의사결정 420
Ⅰ. 조직수준의 의사결정 420
Ⅱ. 경영과학모형(management science approach) 422
Ⅲ. 카네기모형(Carnegie model) 422
Ⅳ. 점진적 의사결정 과정 모형(incremental decision process model) 424
Ⅴ. 쓰레기통모형(garbage can model) 426
Ⅵ. 상황적 의사결정 분석체계 430
제3장 조직문화 433
제1절 조직문화에 대한 이해 433
Ⅰ. 조직문화(organizational/corporate culture)에 대한 기초적 이해 434
Ⅱ. 조직문화의 모델 435
Ⅲ. 조직문화의 역할 448
제2절 조직문화의 변화와 개발 455
Ⅰ. 조직문화의 형성과 유지 455
Ⅱ. 조직문화의 변화: 조직성장 단계에 따른 변화 457
Ⅲ. 조직문화의 개선 459
제5편 조직설계 및 조직과 환경
제1장 조직목표와 조직효과성 465
제1절 조직설계의 두 가지 차원 465
제2절 조직효과성에 대한 이해 466
Ⅰ. 조직효과성(organizational effectiveness)의 개념 466
Ⅱ. 조직효과성을 측정하는 접근방식 466
Ⅲ. 통합적 효과성 모형: 경쟁적 가치모형(competing values approach) 471
제2장 조직의 목적과 구조설계 475
제1절 조직구조의 의미 475
Ⅰ. 조직구조(organizational structure)의 개념 475
Ⅱ. 조직구조의 중요성 475
제2절 조직구조의 기본변수 477
Ⅰ. 복잡성(complexity) 477
Ⅱ. 조직구조에 대한 정보공유 관점: 과업 및 부문간 연결 483
Ⅲ. 공식화(formalization) 488
Ⅳ. 의사결정 권한의 배분 : 집권화와 분권화 490
Ⅴ. 조직구조 변수 간 관계 493
Ⅵ. 기본 변수들의 통합 : 기계적 조직과 유기적 조직 495
제3절 다양한 조직구조의 유형 : 종적조직 499
Ⅰ. 종적조직의 개념 499
Ⅱ. 기능별 조직(functional organization) 499
Ⅲ. 사업별 조직(제품조직, divisional organization) 502
Ⅳ. 혼합조직(hybrid structure) 505
Ⅴ. 종적 조직의 설계유형 507
제4절 다양한 조직구조의 유형 : 횡적조직 508
Ⅰ. 횡적조직 508
Ⅱ. 매트릭스 조직(matrix structure) 508
Ⅲ. 네트워크 조직(network structure) 513
Ⅳ. 팀 조직(team) 520
Ⅴ. 프로세스 조직(process structure) 533
제5절 기타의 조직구조 유형 538
Ⅰ. 집권적 조직구조의 예 538
Ⅱ. 역피라미드형 조직 540
제3장 상황요인과 구조의 설계 542
제1절 상황요인과 조직구조 설계의 이해 542
제2절 규 모 544
Ⅰ. 조직규모에 대한 기초적 이해 545
Ⅱ. 규모와 조직구조 546
Ⅲ. 규모와 관료주의 : 뷰로크라시(bureaucracy) 548
Ⅳ. 규모와 조직 통제 전략 554
Ⅴ. 결 론 : 대규모, 소규모 조직의 혼합 555
제3절 조직기술 557
Ⅰ. 조직기술에 대한 기초적 이해 557
Ⅱ. 조직수준의 기술과 조직설계 : 우드워드(Woodward)의 연구 559
Ⅲ. 부서 및 개인 수준의 기술과 조직설계 : 페로우(Perrow)의 연구 567
Ⅳ. 조직기술과 상호의존성: 탐슨(Thompson)의 연구 573
Ⅴ. 기술 분류의 통합 576
제4절 환 경 577
Ⅰ. 조직환경에 대한 기초적 이해 577
Ⅱ. 환경의 불확실성(uncertainty) 578
Ⅲ. 환경의 불확실성과 조직구조 580
제5절 전 략 587
Ⅰ. 전략에 대한 기초적 이해 587
Ⅱ. 전략과 조직구조의 관계에 대한 시각 588
Ⅲ. 전략수립 모형 590
Ⅳ. 전략의 구분과 조직구조 594
Ⅴ. 조직설계에 영향을 미치는 기타 상황요인의 고려 595
제6절 권 력 596
Ⅰ. 권력에 대한 기초적 이해 596
Ⅱ. 조직의 권력의 원천 596
Ⅲ. 권력작용과 조직구조 설계 599
제7절 조직성장경로 모형 601
Ⅰ. 조직성장연구 모형의 기초적 이해 601
Ⅱ. 조직의 다섯 가지 기본 부문 601
Ⅲ. 순수원형으로서의 조직구조 603
Ⅳ. 혼합형 구조와 구조전환 610
Ⅴ. 맺음말 611
제8절 기타 이슈 : 국제화와 조직구조 612
Ⅰ. 국제화에 대한 기초적 이해 612
Ⅱ. 국제전략 별 적합한 조직구조의 특징 617
Ⅲ. 성공방안 : 글로벌 역량 구축을 통한 세계화의 문제 해결 621
제9절 기타 이슈 : 정보기술과 조직 626
Ⅰ. 정보와 정보기술에 대한 기초적 이해 626
Ⅱ. 통제에의 영향 626
Ⅳ. Ⅲ. 전략적 의사결정의 지원 628
Ⅴ. 새로운 조직형태: 파이프형 대 플랫폼형 633
Ⅵ. e-비지니스 조직설계 635
제10절 사회적 영향을 위한 조직설계 640
Ⅰ. 이중 목적의 조직설계 640
Ⅱ. 기업의 사회적 책임 642
Ⅲ. 지속가능성 프로그램을 실행을 위한 조직구조 설계 643
Ⅳ. 윤리적 가치 실천을 위한 조직설계 644
제4장 조직과 환경 648
제1절 거시조직이론의 이해 648
제2절 환경결정론적 관점 650
Ⅰ. 구조적 상황이론(structural contingency theory) 650
Ⅱ. 조직군 생태학 이론(population ecology theory) 654
Ⅲ. 조직경제학(organizational economics): 거래비용경제학(transaction cost economics) 658
제3절 임의론적 관점 662
Ⅰ. 전략적 선택 이론(strategy choice theory) 662
Ⅱ. 자원의존이론(resource dependence theory) 665
Ⅲ. 공동체 생태학 이론(community ecology or collaborative strategy) 668
Ⅳ. 제도화 이론(institutional theory) 669
제4절 각 조직이론의 주요내용 674
제6편 조직변화
제1장 조직의 성장과 소멸 677
제1절 조직수명주기 677
Ⅰ. 조직수명주기에 대한 기초적 이해 677
Ⅱ. 퀸(Quinn)과 카메론(Cameron)의 조직수명주기 일반모형 678
Ⅲ. 조직수명주기 일반모형 678
Ⅳ. 모형의 평가 681
Ⅴ. 맺음말 681
제2절 조직쇠퇴 682
Ⅰ. 조직쇠퇴의 개념 682
Ⅱ. 조직쇠퇴의 원인 682
Ⅲ. 조직쇠퇴의 단계 - Weitzel&Jonsson 683
Ⅳ. 조직쇠퇴의 유형과 극복방안 - 밀러(Miller) 685
Ⅴ. 맺음말 690
제2장 조직의 변화와 개발 691
제1절 조직변화 691
Ⅰ. 조직변화(organizational change)에 대한 기초적 이해 691
Ⅱ. 조직변화의 유형과 접근방법 692
Ⅲ. 조직변화의 과정과 접근방법 696
Ⅳ. 조직변화에 대한 저항과 극복 701
Ⅴ. 기타 조직변화의 실행전략 707
제2절 조직개발 711
Ⅰ. 조직개발에 대한 기초적 이해 711
Ⅱ. 조직개발의 제 기법 713
Ⅲ. 조직개발에 대한 평가 720
Ⅳ. 조직개발의 성공조건 721
제3장 조직혁신 722
Ⅰ. 조직혁신(organizational innovation)에 대한 기초적 이해 723
Ⅱ. 조직혁신 과정과 조직구조 설계 726
Ⅲ. 조직혁신 유형과 조직구조 설계 729
제4장 지식정보사회와 조직 735
Ⅰ. 학습조직에 대한 기초적 이해 735
Ⅱ. 학습조직의 모형 - 셍게(P. Senge) 738
Ⅲ. 조직 내 학습활동의 형성 739
Ⅳ. 지식창조조직 : 지식전환모델 741
Ⅴ. 학습조직 설계 744
Ⅵ. 성공적인 학습조직 구축방법-셍게(Senge) 745
Ⅶ. 나가며 : 학습공동체의 형성 747
[부 록] 공인노무사 경영조직론 기출문제(제1회~제33회 기출문제) 751
책 속으로
[머리말]
「제11판 공인노무사를 위한 경영조직론」의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경영조직론의 미시적 내용과 거시적 흐름 모두를 잡았습니다.
경영조직론은 미시적 조직이론(조직행동론)과 거시적 조직이론(조직론 및 조직설계 이론)을 포괄합니다. 각각의 수준 별로 독립된 기본서들은 많이 존재하지만, 양자를 하나의 체계 하에서 논리적으로 연결시킨 기본서를 찾는 것은 쉽지 않았습니다. 그러다보니, 미시적 조직이론과 거시적 조직이론을 연결시키는 부분들이 제대로 통합되지 못하고, 이러한 논리적 틈새가 경영조직론 전반에 대한 이해를 방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했던 것이 사실입니다. 그리하여 본 교재는 수험생들이 가장 익숙하게 조직이론을 분류하는 ‘수준’ 별-개인수준, 집단수준, 조직수준-로 광범위한 조직이론들을 분류하였습니다. 특히 조직행동론의 조직수준에 따른 행위연구와 거시조직이론간의 연결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지 않았던 내용들을 조직수준의 이론들로 묶어 재편하였습니다. 또한 세부 내용을 저자가 개발한 ‘개요-내용-공헌 및 한계-시사점’이라는 기본 목차 하에서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수험적 틀 안에서 내용을 정리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둘째, ‘한 권’ 안에 대부분의 기본서를 모두 볼 수 있게 개편하였습니다.
경영조직론을 공부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6권 이상의 기본서가 필요합니다. 그런데, 이 기본서들의 서술 체계가 동일하지 않고, 같은 내용도 다르게 기술된 부분들이 있으며, 어느 기본서에는 있고 또 어느 기본서에는 없는 내용들이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해당 주제에 관련된 내용이 다르게 서술되어 있거나, 빠진 부분들은 기본서의 출처를 밝히며 모두 삽입하여 ‘한 권’으로 모아드렸습니다. 또한 최근에 출간된 기본서들의 내용을 추가·보완하고, 조직이론 쪽의 명쾌한 이해를 위해 행정학 기본서 역시 참고하였습니다.
셋째, 기본서 문장을 그대로 가져와 핵심문장을 찾아드렸습니다.
각각의 기본서 내용들을 주제별로 짜깁기하며 핵심내용만 가지고 왔던 초판과는 달리, 이해를 위해 배경 내용까지 모두 실었습니다. 그리고 그 중 핵심내용은 밑줄 처리하여 이해와 효율적 정리를 동시에 도와드리고자 하였습니다.
넷째, 제11판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들이 개정되었습니다.
제10판의 내용 중 불필요하거나 중복되는 내용들은 생략하고, 제33회 기출문제를 반영하여 관련 내용을 추가ㆍ보완하였습니다. 또한 ‘제5편. 조직설계 및 조직과 환경’하에 ‘홀라크라시팀’, ‘새로운 조직형태: 파이프형 대 플랫폼형’, ‘사회적 영향을 위한 조직설계’내용을 추가하였습니다.
넷째, 서브노트를 보조 교재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수험서를 통해 전체의 맥락을 이해하고 흐름을 잡는 데에 도움이 될 것이지만, 시험을 대비하기 위해 요약ㆍ정리된 보조교재가 필요하다고 생각됩니다. 그래서 그동안 비공식적으로 수강생분들에게만 제공되었던 서브노트를 정식 출간하였습니다. 서브노트에 집중적으로 볼 수험서 및 기본서의 내용을 정리하여 반복적으로 정리해주세요.
2024년 9월
공인노무사 이해선 올림
작가정보
저자(글) 이해선
한국항공대학교를 거쳐 KDI국제정책대학원 석사 졸업했다. 제19회 공인노무사로 현재 합격의법학원 경영학개론 전임강사, 합격의법학원 인사노무관리론 및 경영조직론 전임강사를 맡고 있으며, 한림법학원 경영조직론 전임강사를 역임했다. 롯데 공인노무사 대비과정 경영조직론, 롯데면세점 간부승진자격 대비과정 전략경영 및 조직행동론, 삼성 공인노무사 대비과정 인사노무관리론 및 경영조직론, LG 공인노무사 대비과정 인사노무관리론 및 경영조직론 출강 등의 활동을 했다. 출간작으로 『공인노무사를 위한 경영학개론 제5판』 (필통북스 간, 2020년), 『공인노무사를 위한 인적자원관리 제5판』 (필통북스 간, 2019년), 『공인노무사를 위한 인적자원관리 SUB-NOTE 제2판』 (필통북스 간, 2019년), 『공인노무사를 위한 경영조직론 제6판』 (필통북스 간, 2018년), 『공인노무사를 위한 경영조직론 SUB-NOTE 제2판』 (필통북스 간, 2020년), 『공인노무사를 위한 1차 경영학 객관식 제4판』 (필통북스 간, 2020년), 『공인노무사2차 기출문제 해설집』 (필통북스 간, 2016년), 『한 권으로 끝내는 정통경영조직론 실전문제집』(법학사 간, 2013년), 『한 권으로 끝내는 정통경영조직론』 (윌비스 간, 2013년) 등이 있다.